창업은 가설과 검증을 통해서 이루어 지게 됩니다.
그 중 무자본 창업은 자원과 리스크를 최소화 해서 이루어지는 창업이라고 보면 됩니다. 무자본 창업에서 검증은 미리 팔아보기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.
미리 팔아보기란?
무자본 창업에서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.
거창하게 판매하려고 하지 말고 리스크 및 자원을 최소화 하여 좋은 퀄리티와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빠르게 제공 해보는 것. 수요 검증 시 내부적으로 굉장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음
두 개의 아이템에 대해서 미리 팔아보기.
- 해당 내용은 휴리스틱으로 판단하여 다소 논리적인 모순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! 🙂
아이템 1 : 자율 주행 로봇 청소기
사용 방식 :
로봇이 24시간 on되어 있고 바닥의 청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스로 체크하여
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기 제품
미리 팔아보기 (시나리오)
시나리오 1.
가설 : 기존의 로봇 청소기와 다른 점을 강조하면 기존의 고객층들을 끌고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.
바닥의 청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스로 체크 해서 자동으로 청소 .
기존의 로봇 청소기는 바닥의 청결 상태를 따로 인식하지는 않았음 .
미리 팔아보기
1. 미리 팔아보기 위해서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와디즈를 이용한다.
2. 상품 설명 카피라이팅에서 기존 청소기와의 차이점을 강조하고 수치적으로
청결 상태의 before , after 를 보여준다. 그렇다면
3. 자금이 확보 되면 그 때 로봇 청소기를 수요에 맞게 생산한다.
시나리오 2
가설 : 24시간 바닥 청결 상태를 원하는 장소는 키즈 카페일 것이고 학부모들은 청결한 곳을 선호할 것이다.
해당 아이템을 필요로하는 곳은 어디일까?
가정집에서 24시간 바닥 청결 상태를 관리할 필요성은 없을 것.
이유 : 코로나 상황이기도 하고 아이를 두신 학부모들은 위생에 민감한 편일 것이다. 그렇다면 바닥 청결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청소기 제품은 키즈 카페 점주 분들이 원하지 않을까? .
추가적인 장점으로는
1. 정확한 데이터 측정을 통해 수치적으로 볼 수 있어 다른 키즈 카페보다 마케팅에 유리할 수 있다.
2. 청소하는 데 있어서 인건비 절감도 볼 수 있을 것이다.
진행 프로세스
1. 키즈 카페 커뮤니티를 통해서 구글 폼을 이용하여 청결 상태에 따른 키즈 카페 선호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봅니다. 이 조사는 점주들을 설득하는 데에도 쓰일 수 있을 거 같습니다. 설문에 응해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리는 방식으로 참여를 독려해봅니다. 선호도 높다라고 판단이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.
2. 키즈 카페에 대한 만족도 부분을 수치화 해본다. ( 청결도 , 놀이 기구 다양성 등등 ) .
3. 키즈 카페 관련 리뷰하는 페이스 북 모임을 만들어서 학부모들이 리뷰 할 수 있게 커뮤니티에 홍보합니다. 이것을 하는 이유는 리뷰의 형식은 위에서 수치화 항목을 토대로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규칙을 배포합니다. 초기에는 리뷰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여러가지 키즈카페를 돌아 다니면서 해당 항목으로 리뷰를 몇개(내부적 비효율)작성해 놓습니다.
4. 청결도에 대한 키즈 카페 점주분들에게 중요한 수치라는 것을 리뷰를 통해 인지시켜드리고 ,
키즈 카페 점주 분들께 연락하여 로봇 청소기 판매.
추후에는 24시간 바닥 청결 상태를 원하는 다른 장소가 있다면 위와 같이 당위성을 확보해서 B2B로 로봇 청소기를 판매합니다.
-> 다시 생각해봤을 때 시나리오 2는 미리 팔아보기 보기는 아닌 거 같다. 이미 아이템을 만든 상태에서 판매한다는 것은 미리 팔아보기는 아닌 거 같고 , 일반적인 형태의 비즈니스 판매로 생각됩니다.
아이템 2 : 동화 창작 앱
사용 방식 :
모바일 or 태블릿에서 부모와 아이가 함께 동화를 만들어볼 수 있는 앱 서비스
동화의 배경 이미지가 쭉 리스트로 나오면 원하는 배경 선택 >
캐릭터 이미지가 쭉 리스트로 나오면 원하는 캐릭터 선택 >
캐릭터 위에 말풍선에 직접 원하는 문구 넣기
…..
이렇게 동화 장면 하나 하나를 만들어가는 앱 서비스
가설 : 부모와 아이가 같이 동화를 만들어볼 수 있는 앱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존재할 것이다.
미리 팔아보기 (시나리오) :
1. 배경이나 캐릭터에 대한 리소스를 만듭니다.
2. PPT를 통해서 위의 사용방식을 담은 동화 창작하기 템플릿을 만듭니다.
3. 학부모 커뮤니티에 미리 해당 템플릿을 팔아봅니다.
수요가 검증되면 앱을 만들어서 배포합니다.
참고:
휴리스틱이란?
위키 백과 정의 :불충분한 시간이나 정보로 인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거나, 체계적이면서 합리적인 판단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보다 용이하게 구성된 간편추론의 방법
쉽게 말해서 어림짐작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도 됌 .
'창업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6 이 템플릿만 있으면 바로 창업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💡 (0) | 2021.09.20 |
---|---|
#5 30초만 투자하면 나도 똑똑한 카피라이터가 될 수 있다? ✍️ (0) | 2021.09.18 |
#3 긍정적 스트레스와 성장하기 위한 방법론 🥰 (0) | 2021.09.16 |
#2 세계관이 좁아서 내 자원을 낭비했었던 경험 🗺️ (0) | 2021.09.14 |
#1 내가 창업을 하고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자 하는 이유 💸 (0) | 2021.09.14 |